AI영재고 입시반
AI영재고 입시반
AI 바이오 분야 미래를 선도할 고급인재 조기양성이 목적인 AI 바이오 영재고 사업은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인데, 학교는 오는 2027년 개교를 목표로
충북 오송에 부지면적 2만 2500㎡, 연면적 1만 5990㎡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에디코딩학원은 AI영재고를 목표로 AI영재고 입시반을 신설하여
학교 내신 성적관리, 생기부 관리 및 체계적인 교육 중에 있습니다.
상담 문의: 02-2606-1222
영재교육 커리큘럼
에디코딩학원은 STEAM, 첨단기술, AI SW 기초, AI SW 심화, AI SW 프로젝트 등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력 향상과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영재교육은 현 초등4학년부터 중1학년까지 수강할 수 있으며, 정보올림피아드/전국코딩대회 등에 참가하며 AI영재고 입학을 위한 이력을 하나씩 차근차근 쌓아나가고 있습니다.
AI영재고 학생 선발 계획
2026년 1회 입학생 50명을 선발하고, 연차적으로 학생을 선발해 정원 150명을 채울 참이다. 국립 영재학교여서 전국 단위 모집을 추진하지만 충북도는 지역 할당으로 정원의 20~30%를 선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박지희 충북도 AI ·바이오 영재학교 담당 주무관은 “국립학교여서 전국 선발이 원칙이지만 충북교육청과 협의해 과학기술부, 카이스트 등에 지역 할당 배정을 건의·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I·바이오 영재학교인 만큼 기존 전국 영재학교와 교육과정 차별화도 추진한다. 현재 부산에 국립 한국과학영재학교가 있으며, 공립 영재학교는 서울·경기·대구·대전 과학고, 광주 과학영재학교, 세종·인천 과학예술영재학교 등 7곳에 있다.
학교 운영 계획
AI·바이오 영재학교는 국어·영어 등 인문사회예체능 48학점, 수학·과학 등 자연과학 54학점 등 일반교과 102학점과 함께 인공지능·바이오 융합 25학점, 융합기초·졸업연구 등 창의·융합연구 28학점 등 전체 155학점 배당안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자기계발·협업·세계시민 활동 등 리더십 활동 270시간도 교육 과정에 포함할 계획이다.
박지희 충북도 AI·바이오 영재학교 담당 주무관은 “기존 영재학교 교과과정 등을 참고해 AI·바이오 영재학교 학점 배정·교육과정안을 만들었는데 학교 설립·협의 과정에서 추가·보완할 계획이다. 인공지능·바이오 인재 양성을 위한 최적의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